안드로이드

파이어베이스 시작하기

천검 2024. 7. 28. 14:08
반응형

파이어베이스가 뭔지 Copilot에 물어본다.

파이어베이스(Firebase)는 구글이 제공하는 모바일 및 웹 애플리케이션 개발 플랫폼입니다. 이 플랫폼은 개발자들이 앱을 쉽게 만들고, 개선하고, 확장할 수 있도록 다양한 도구와 서비스를 제공합니다12.

주요 기능으로는:

• 실시간 데이터베이스: 클라우드 기반의 NoSQL 데이터베이스로, 실시간 데이터 동기화가 가능합니다.
• 인증: 이메일, 구글, 페이스북 등 다양한 방법으로 사용자를 인증할 수 있습니다.
• 호스팅: 웹 애플리케이션을 쉽게 배포하고 관리할 수 있습니다.
• 클라우드 함수: 서버리스 환경에서 백엔드 코드를 실행할 수 있습니다.
• 애널리틱스: 사용자 행동을 분석하고, 앱의 성능을 모니터링할 수 있습니다.

이 외에도 푸시 알림, 파일 저장, A/B 테스트 등 다양한 기능을 제공하여 개발자들이 더 나은 사용자 경험을 제공할 수 있도록 돕습니다3.

어떤 부분에 대해 더 알고 싶으신가요? 😊

 

우선 가장 중요한 가격, 무료인지 물어본다.

 

파이어베이스(Firebase)는 Spark 요금제와 Blaze 요금제라는 두 가지 요금제를 제공합니다12.

• Spark 요금제: 무료로 제공되며, 대부분의 Firebase 기능을 사용할 수 있습니다. 예를 들어, 실시간 데이터베이스, 인증, 호스팅, 클라우드 메시징 등의 기본 기능을 무료로 이용할 수 있습니다2.
• Blaze 요금제: 사용한 만큼 비용을 지불하는 종량제 요금제입니다. Spark 요금제의 무료 할당량을 초과하는 사용량에 대해서만 비용이 청구됩니다1.

따라서, Firebase는 기본적인 사용에 대해서는 무료로 제공되지만, 더 많은 리소스나 고급 기능을 사용하려면 Blaze 요금제로 업그레이드해야 할 수 있습니다.

어떤 기능을 사용하려고 하시나요? 😊

 

좀 더 상세한 부분은 아래 링크를 확인한다.

 

Firebase 요금제  |  Firebase 문서 (google.com)

 

Firebase 요금제  |  Firebase 문서

Google I/O 2022에서 Firebase의 새로운 기능을 확인하세요. 자세히 알아보기 의견 보내기 Firebase 요금제 컬렉션을 사용해 정리하기 내 환경설정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분류하세요. 이 페이지

firebase.google.com

 

무료 할당량에 대해 알려달라고 했다.

 

• Cloud Firestore:
o 저장된 데이터: 1GB
o 문서 읽기: 50,000회/일
o 문서 쓰기: 20,000회/일
o 문서 삭제: 20,000회/일
o 아웃바운드 데이터 전송: 10GB/월

• 실시간 데이터베이스:
o 저장된 데이터: 1GB
o 동시 연결: 100개
o 다운로드: 10GB/월

• 호스팅:
o 저장된 데이터: 1GB
o 전송된 데이터: 10GB/월

• Cloud Functions:
o 호출: 200만 회/월
o GB-초: 400,000초/월

• 인증:
o 이메일/비밀번호, 익명 인증: 무료
o 전화 인증: 10,000회/월

 

이제 파이어베이스의 기능에 대해 알아본다.

 

파이어베이스(Firebase)는 다양한 기능을 제공하여 모바일 및 웹 애플리케이션 개발을 지원합니다. 주요 기능을 상세히 설명드릴게요:

1. 실시간 데이터베이스 (Realtime Database)
• 특징: 클라우드 기반의 NoSQL 데이터베이스로, 데이터가 실시간으로 동기화됩니다.
• 사용 예시: 채팅 애플리케이션, 실시간 피드 등.

2. Cloud Firestore
• 특징: 확장성이 뛰어난 NoSQL 데이터베이스로, 구조화된 데이터 저장 및 쿼리가 가능합니다.
• 사용 예시: 복잡한 데이터 구조를 가진 애플리케이션.

3. 인증 (Authentication)
• 특징: 이메일/비밀번호, 구글, 페이스북 등 다양한 방법으로 사용자를 인증할 수 있습니다.
• 사용 예시: 사용자 로그인 및 회원가입 기능.

4. 호스팅 (Hosting)
• 특징: 웹 애플리케이션을 쉽게 배포하고 관리할 수 있습니다.
• 사용 예시: 정적 웹사이트, SPA(Single Page Application) 등.

5. 클라우드 함수 (Cloud Functions)
• 특징: 서버리스 환경에서 백엔드 코드를 실행할 수 있습니다.
• 사용 예시: 데이터베이스 트리거, HTTP 요청 처리 등.

6. 애널리틱스 (Analytics)
• 특징: 사용자 행동을 분석하고, 앱의 성능을 모니터링할 수 있습니다.
• 사용 예시: 사용자 행동 분석, 마케팅 캠페인 효과 측정 등.

7. Cloud Messaging (FCM)
• 특징: iOS, Android, 웹 등 다양한 플랫폼에서 메시지와 알림을 전송할 수 있습니다.
• 사용 예시: 푸시 알림, 사용자 맞춤 메시지 전송 등.

8. 원격 구성 (Remote Config)
• 특징: 앱을 다시 배포하지 않고도 앱의 동작과 모양을 변경할 수 있습니다.
• 사용 예시: A/B 테스트, 기능 플래그 등.

9. Crashlytics
• 특징: 앱의 충돌을 실시간으로 모니터링하고 보고합니다.
• 사용 예시: 앱 안정성 개선, 버그 추적 등.

10. 성능 모니터링 (Performance Monitoring)
• 특징: 앱의 성능을 모니터링하고 최적화할 수 있습니다.
• 사용 예시: 앱 로딩 시간 분석, 네트워크 요청 모니터링 등.

이 외에도 Firebase는 ML Kit, App Distribution, Test Lab 등 다양한 기능을 제공하여 개발자들이 더 나은 사용자 경험을 제공할 수 있도록 돕습니다.

어떤 기능이 가장 흥미로우신가요? 😊

 

이제 파이어베이스와 앱을 연결 시키는 방법에 대해 물어본다.

 

파이어베이스(Firebase)와 앱을 연결하는 방법을 단계별로 설명드릴게요. 여기서는 Android 앱을 예로 들어 설명하겠습니다.

1. Firebase 프로젝트 생성
1. Firebase Console에 로그인합니다.
2. 새 프로젝트를 생성하거나 기존 프로젝트를 선택합니다.

2. 앱 등록
1. Firebase Console에서 프로젝트 개요 페이지로 이동합니다.
2. 중앙에 있는 Android 아이콘을 클릭하여 설정 워크플로를 시작합니다.
3. 앱의 패키지 이름을 입력하고, (선택사항) 앱 닉네임과 디버그 서명 인증서 SHA-1을 입력합니다.
4. 앱 등록을 클릭합니다.

3. Firebase 구성 파일 추가
1. google-services.json 파일을 다운로드합니다.
2. 이 파일을 앱의 모듈(앱 수준) 루트 디렉터리에 추가합니다.

4. Firebase SDK 추가
1. 프로젝트의 루트 수준 build.gradle 파일에 Google 서비스 플러그인을 추가합니다:

buildscript {
    dependencies {
        // Add the dependency for the Google services Gradle plugin
        classpath 'com.google.gms:google-services:4.3.10'
    }
}
2. 앱 수준 build.gradle 파일에 Firebase SDK 종속 항목을 추가합니다:
    apply plugin: 'com.android.application'
     apply plugin: 'com.google.gms.google-services'
    
     dependencies {
         // Import the BoM for the Firebase platform
         implementation platform('com.google.firebase:firebase-bom:32.3.1')
    
         // Add the dependencies for the desired Firebase products
         implementation 'com.google.firebase:firebase-analytics-ktx'
     }

5. 앱 초기화
1. 앱의 MainActivity 또는 Application 클래스에서 Firebase를 초기화합니다:
Kotlin
import com.google.firebase.FirebaseApp

class MyApplication : Application() {
    override fun onCreate() {
        super.onCreate()
        // Initialize Firebase
        FirebaseApp.initializeApp(this)
    }
}

AI가 생성한 코드입니다. 신중하게 검토하고 사용하세요. FAQ의 자세한 정보.

이제 Firebase와 앱이 연결되었습니다! 이 과정을 통해 Firebase의 다양한 기능을 사용할 수 있습니다12.

어떤 기능을 먼저 사용해보고 싶으신가요? 😊

 

반응형